-목차-
1. MSDS 제출 개요
2. MSDS 제출대상 등
3. MSDS 제출 대외 대상
4. MSDS 번호 부여
5. MSDS 제출 시 주의사항
6. MSDS 제출 서류 작성 방법
3. MSDS 제출 대외 대상
● 산안법 시행령 제86조(MSDS의 작성·제출 제외 대상 화학물질 등)
1.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3조제1호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2. 「농약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농약
3.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마약 및 향정신성의약품
4. 「비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비료
5. 「사료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사료
6.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제2조제2호에 따른 원료물질
7.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제4호 및 제8호에 따른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품 중 일반소비자의 생활용으로 제공되는 제품
8. 「식품위생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식품 및 식품첨가물
9. 「약사법」 제2조제4호 및 제7호에 따른 의약품 및 의약외품
10. 「원자력안전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방사성물질
11. 「위생용품 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위생용품
12. 「의료기기법」 제2조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
12의2.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5호에 따른 첨단바이오의약품
13.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항에 따른 화약류
14. 「폐기물관리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폐기물
15. 「화장품법」 제2조제1호에 따른 화장품
16. 제1호부터 제15호까지의 규정 외의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로서 일반소비자의 생활용으로 제공되는 것
(일반소비자의 생활용으로 제공되는 화학물질 또는 혼합물이 사업장 내에서 취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17.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연구∙개발용 화학물질 또는 화학제품.
이 경우 법 제110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자료의 제출만 제외합니다.

18. 그 밖에 고용노동부장관이 독성·폭발성 등으로 인한 위해의 정도가 적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화학물질
⇒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130호 제3조(적용제외 물질)

4. MSDS 번호 부여
● MSDS 번호 형식

① 사업장ID : 사업장이 물질안전보건자료시스템 회원가입 시 부여되는 해당 사업장의 고유 ID를 의미합니다.
사업장ID는 알파벳 두 자리(AA~ZZ) + 숫자 다섯 자리(00000~99999)로 구성됩니다.
② 사업장부여 번호 : 숫자 열 자리(0000000001~9999999999)로 구성됩니다.
▷ 추가 사항
1. MSDS 번호는 사업장ID마다 물질안전보건자료시스템에 제출하는 순서대로 부여됩니다.
2. 필요 시 사업장에서 MSDS 번호를 기재(MSDS 번호 부여방법 준수, 중복불가)하여 제출하면,
물질안전보건자료시스템에서 부여합니다.
이 경우 해당 번호는 물질안전보건자료시스템에서 부여된 번호만 유효합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제110조제3항에 따라 변경된 MSDS를 제출하더라도 MSDS 번호는 최초 제출 시 부여 받은
MSDS 번호와 동일합니다.
출처 안전보건공단
댓글